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express
- git
- nodejs
- worker
- PAT
- 명령어
- node.js
- 네트워크
- OpenStack
- Docker-compose
- gns3
- RAID
- kubernetes
- 실습
- 도커
- 쿠버네티스
- 클라우드
- dockerfile
- IaaS
- MongoDB
- Docker Swarm
- network
- RAPA
- 개념
- 용어정리
- docker
- 이론
- PaaS
- mysql
- Javascrip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namespace (1)
융융이'Blog
[Kubernetes]Namespace의 개념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장벽 쿠버네트스에서는 리소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네임스페이스(Namespace)라는 오브젝트를 제공합니다. 네임스페이스를 생서하지 않았더라면 기본적으로 default, kube-public, kube-system 으로 3가지가 존재한다. # yaml 파일 이용할 때 kubectl apply -f production-namespace.yaml # CLI이용 kubectl create name production네임스페이스와 라벨의 차이점은 네임스페이스는 자원사용량을 제한을 두거나 특정 네임스페이스에 생성되는 포드에는 사이드카 컨테이너를 붙이는 등 특정 namespace에 대해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namespace를 꼭 부여를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namespa..
2022이전/Docker&Kubernetes
2020. 6. 18.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