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cker Swarm
- node.js
- worker
- gns3
- MongoDB
- 개념
- OpenStack
- PaaS
- RAPA
- 클라우드
- mysql
- 네트워크
- 쿠버네티스
- dockerfile
- Docker-compose
- 명령어
- network
- 용어정리
- PAT
- 이론
- kubernetes
- nodejs
- git
- 실습
- express
- 도커
- RAID
- Javascript
- docker
- IaaS
Archives
- Today
- Total
융융이'Blog
간단한 VPN 개념 본문
VPN(Virtual Private Network)란?
직역을 하면 가상사설망이다. 본사와 지사 또는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네트워크 구간을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사설 주소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기술이며 해당 통신 시에는 데이터를 ESP 헤더로 감싸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해싱,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 인터넷을 통한 안전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기술이다.
VPN 종류
VPN의 종류는 위 트리 구조 처럼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VPN 방식을 결정 짓는 데 있어서 통신계층(L2, L3), GRE방식, 헤더 프로토콜 방식 등을 기준으로 다르다.
참고 :
https://rlarlgns.github.io/rlarlgns.github.io/2017-06-15/VPN/
'2022이전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계층적 디자인과 스파인리브 디자인(network) (0) | 2020.06.03 |
---|---|
[GNS3] NAT, VLAN, NFS, ACL 종합_실습 (0) | 2020.05.29 |
[GNS3]게이트웨이 이중화(HSRP)_실습 (0) | 2020.05.28 |
[GNS3]ACL 설정하기_실습 (0) | 2020.05.28 |
[GNS3]GRE 터널 구성하기_실습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