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명령어
- MongoDB
- RAPA
- 쿠버네티스
- nodejs
- RAID
- network
- 이론
- 실습
- dockerfile
- 용어정리
- express
- Docker-compose
- 네트워크
- gns3
- PAT
- OpenStack
- kubernetes
- 도커
- Javascript
- Docker Swarm
- IaaS
- 클라우드
- node.js
- docker
- worker
- PaaS
- 개념
- mysql
- gi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ns (2)
융융이'Blog
DNS 초기화하는 방법
윈도우 cmd 실행 후 $ipconfig /flushdns 크롬 크롬 실행 **chrome://net-internals/#dns** 접속 [clear host cache] 버튼 클릭 **크롬 - 설정 - 방문기록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 캐시된 이미지 및 파일 체크 - 인터넷사용기록 삭제 클릭**
2022이전/네트워크
2020. 5. 18. 15:20
DNS 서버 다루기(캐싱 DNS서버, Master네임 서버)_실습
캐싱DNS서버 구축하기 보통 UDP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옛날에 있는 외부에 DNS 서버를 이용했다. 하지만 클라우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DNS서버를 하나 트래픽을 줄였다. 캐싱DNS서버는 외부 도메인 IP주소만 불러오는 용도이다. DNS는 한번은 등록이 되면 자동으로 캐시파일로 등록이 됨으로 확인해야 한다. 필용한 패키지 설치 yum -y install bind bind-chroot 설치된 패키지의 설정 변경 cat /etc/named.conf ...변경전 내용 ... options { listen-on port 53 { 127.0.0.1; }; //UDP : 통신방식 //허용IP listen-on-v6 port 53 { ::1; }; //ip-v6 : 사용여부 directory "/var/named..
2022이전/클라우드
2020. 5. 15.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