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명령어
- 네트워크
- gns3
- nodejs
- 이론
- dockerfile
- 개념
- 도커
- 쿠버네티스
- RAPA
- mysql
- 용어정리
- Docker Swarm
- worker
- PAT
- node.js
- docker
- 실습
- PaaS
- RAID
- Javascript
- Docker-compose
- kubernetes
- MongoDB
- IaaS
- OpenStack
- 클라우드
- network
- git
- express
- Today
- Total
목록SCSI (2)
융융이'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VDKV/btqNpeEDxpL/4IsZcJ1Zl48NqlxNIxsZpk/img.png)
서버의 핵심은 안정성과 속도입니다. Server의 아키텍처 과거 :(~2009년) 2009년 이전까지 위 그림과 같이 North bridge & South bridge 와 같은 구조 서버 H/W가 구성되어 있었다. 더보기 노스 브리지 -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사우스 브리지 - 하드디스크, PCI, USB, FDD, Keyboard, Mouse, Bios,... 와 같이 배치가 되어있다. 초기에는 메인보드는 단지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지만 각각의 부품이 발달함에 따라 이들이 조정하는 기능까지 갖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NorthBridge와 Southbridge를 나눠 기능 처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하지만 노스 브리지는 점점 많은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이르게 되었..
일반적으로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점보프레임은 사용해봤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방에서 받아주는 점보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해 CPU를 더 많이 잡아 먹는 경우가 생겨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점보프레임을 만들어진 이유는 큰 데이터를 전송시에 잦은 Fragmentation 시 발생할 수 있는 부하를 줄이고자함이다(오버헤드) 기본 Default는 1500Byte로 지정되어 있지만, 최대 9000Byte로 설정이 가능하다(장비마다 다를 수는 있다.) ISCSI 와 FC와 비교를 많이 합니다. 최근 iSCSI도 10G 같은 고속 인터넷이 상용화가 끝났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고가의 관련 장비를 구매하지 않고 단순한 IP 네트워크 장비로도 빠른 스토리지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