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node.js
- Docker Swarm
- nodejs
- Javascript
- 명령어
- 네트워크
- MongoDB
- dockerfile
- 클라우드
- kubernetes
- docker
- PaaS
- RAPA
- gns3
- git
- PAT
- mysql
- Docker-compose
- 개념
- 용어정리
- 실습
- IaaS
- OpenStack
- RAID
- 이론
- express
- 도커
- 쿠버네티스
- worker
- network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LoadBlance (1)
융융이'Blog
[Kubernetes] NodePort VS LoadBalancer VS ClusterIP
위 3가지는 서비스 퍼블리싱(Service Types) 에 속한다. 기본값으로 ClusterIP 방식으로 설정 된다. ClusterIP : 서비스를 클러스터-내부 IP에 노출시킨다. 이 값을 선택하면 클러스터 내에서만 서비스에 도달할 수 있다. Cluster 내부적에서만 사용한다. NordPort : 고정포트로 각 노드 IP에 서비스를 노출 시킨다. NodePort 서비스가 라우팅되는 ClusterIP 서비스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NodeIP] : [NodePort]를 요청하여, 클러스터 외부에서 NodePort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같은 상위 네트워크 상에서 주로 사용한다. LoadBalancer: 클라우드 공급자의 로드밸런서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외부 로드 밸런서가 라우팅되는..
2022이전/Docker&Kubernetes
2020. 6. 23. 1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