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ckerfile
- PaaS
- 클라우드
- kubernetes
- mysql
- 개념
- network
- 네트워크
- worker
- OpenStack
- node.js
- RAID
- 이론
- RAPA
- Docker-compose
- git
- gns3
- 명령어
- IaaS
- nodejs
- express
- 용어정리
- docker
- 쿠버네티스
- 실습
- 도커
- Docker Swarm
- Javascript
- PAT
- MongoDB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CL (1)
융융이'Blog
[GNS3]ACL 설정하기_실습
ACL란? 특정 트래픽을 필터링을 하는 것을 최종 목적이다. 라우터의 패킷 처리 순서 ACL( permit, deny ) NAT Routing( 경로 선택, 패킷 포워딩 ) Standard: 패킷의 출발지 IP만을 확인한뒤 해당 패킷을 Permit 또는 Deny 한다. 서비스에 대해서 all or nothing access-list 1 permit 192.168.101.0 0.0.0.255 : 와일드 카드로 설정 ( 설명 : https://gmldbd94.tistory.com/107) Extended : 출발지 IP(Source), 도착지 IP(Destination) , SRC PORT , DST port...(L3, L4) 주로 클라우드에서는 extended 방식을 적용하여 허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오..
2022이전/네트워크
2020. 5. 28. 1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