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gns3
- dockerfile
- git
- express
- PaaS
- 명령어
- RAID
- network
- 도커
- MongoDB
- 쿠버네티스
- Docker Swarm
- IaaS
- PAT
- 이론
- 개념
- 용어정리
- nodejs
- worker
- mysql
- docker
- RAPA
- Docker-compose
- 클라우드
- Javascript
- kubernetes
- node.js
- 네트워크
- OpenStack
- 실습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패킷단편화 (1)
융융이'Blog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최대 전송 단위)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데이터링크에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패킷에 담아 운반 가능한 최대 크기 MTU란 TCP/IP 네트워크 등과 같은 패킷 또는 프레임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전송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패킷 또는 프레임을 말한다.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량(Byte)인 MTU 값은 매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Ethernet환경이라면 MTU 기본값은 1500, FDDI 인 경우 4000, X.25는 576, Gigabit MTU는 9000정도 등 매체 특성에 따라 한번에 전송량이 결정된다. MTU값 계산 MTU는 Ethernet프레임을 제외한 IP datagram의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즉, MTU가 1500이라고 할 때 IP Header의 크기 20byte..
2022이전/네트워크
2020. 8. 16. 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