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etwork
- MongoDB
- worker
- nodejs
- RAPA
- gns3
- 클라우드
- OpenStack
- 도커
- 네트워크
- git
- mysql
- PaaS
- kubernetes
- dockerfile
- 개념
- RAID
- Docker-compose
- Javascript
- 용어정리
- PAT
- Docker Swarm
- 쿠버네티스
- 이론
- 실습
- 명령어
- node.js
- express
- IaaS
- docker
- Today
- Total
융융이'Blog
Linux 환경에서 디스크 마운트하기 본문
Linux 환경에서 디스크 마운트하기
[디스크 확인하기](#디스크 확인하기)
[디스크 파티셔닝 하기](#디스크 파티셔닝 하기)
[디스크 포맷하기](#디스크 포맷하기)
[디스크 마운트 하기](#디스크 마운트 하기)
[사용가능한 디스크 확인하기](#사용가능한 디스크 확인하기)
[연결된 디스크 UUID 확인하기](#연결된 디스크 UUID 확인하기)
[NAS 마운트 하기](#NAS 마운트 하기)
[Fuse 서버를 통하여 Object-storage 마운트 하기](#Fuse 서버를 통하여 Object-storage 마운트 하기)
[부팅시 마운트 되도록 설정_fstab](#부팅시 마운트 되도록 설정)
디스크 확인하기
fdisk -l
: 현재 내 서버안의 모든 디스크들의 파티션 상태 확인 명령어
디스크 파티셔닝 하기
fdisk /dev/xvdb
: 파티셔닝 하는 명령어
n (new 파티션) > P(기본) > 1(파티션 숫자는?) > enter(디스크의 크기를 몇부터 할당 받을래? 기본 2048) > w 저장
파티션 개념
리눅스에는 세 가지 종류의 파티션이 있다.
- Primary Partition (주 영역 파티션)
- Extended Partition (확장 영역 파티션)
- Logical Partition (논리 영역 파티션)
디스크 포맷하기
mkfs.xfs /dev/xvdb1
: 디스크를 포맷하는 명렁어(xfs 타입으로 포맷)
디스크 마운트 하기
mount /dev/xvdb1 /data
: xvdb1 디스크를 data폴더에 마운트 한다.
umount /data
: data폴더에 마운트를 해지한다.
사용가능한 디스크 확인하기
df -h
: 내 서버에서 쓸 수 있는(=마운트 된 ) 디스크 리스트
연결된 디스크 UUID 확인하기
blkid
: 연결된 UUID와 TYPE을 확인 할 수 있다.
NAS 마운트 하기
systemctl status rpcbind
: 원격(remote), 즉 외부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서비스
즉, NFS프로토콜을 하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ex>
mount -t nfs 10.250.53.86:/123456_test /nas
Nas 환경이 구축된 디스크 주소를 /nas폴더에 마운트를 시켜준다.
Fuse 서버를 통하여 Object-storage 마운트 하기
컴파일에 필요한 패키지 도구 준비
yum install -y automake fuse-devel gcc-c++ git libcurl-devel libxml2-devel make openssl-devel
s3-fuse 다운 받을 디렉토리 이동 => git clone => 해당 폴더로 이동
cd ~ git clone https://github.com/s3fs-fuse/s3fs-fuse.git cd s3fs-fuse
자동 실행 파일 실행
./autogen.sh ./configure make && make install
API 인증키 정보를 서버에 입력하기 => 소유권한 변경 => fuse를 이용한 마운트
echo AccessKey:SecretKey > /etc/passwd-s3fs chmod 600 /etc/passwd-s3fs mkdir /my-objectstorage s3fs <버킷이름> /my-objectstorage -o url=https://kr.object.ncloudstorage.com
부팅시 마운트 되도록 설정
vim /etc/fstab
...
### block storage ###
UUID=447831ab-99a7-4e29-b121-2e350e3b4e0e /data xfs defaults 1 2
### Nas Storage ###
10.250.53.86 /nas nfs defaults 1 2
### Object Storage ###
s3fs <버킷이름> /my-objectstorage fuse _netdev,allow_other,use_path_request_style,url=https://s3.fr-par.scw.cloud/ 0 0
...
용량이 확장된 디스크를 재파티셔닝하기
yum install -y cloud-utils-growpart
## 디스크 refresh
growpart /dev/xvdb 1 (띄어쓰기 유의)
fdisk -l
=> 늘어난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 재파티셔닝
xfs_growfs /dev/xvdb1
df -h
=> 확장된 만큼 파티셔닝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stab 설정
1.FileSystem Device Name(파일시스템장치명)
파일시스템장치명은 곧 파티션들의 위치를 말합니다. 위에 fdisk -l를 처서 나온 부분을 보시면 /dev/sdb1~6까지의 파티션장치의 위치 즉, 주소를 나타내는것이 보일겁니다.
이러한 장치면을 써주는 필드입니다. 그대로 /dev/sdb1이런식으로 쓸수도있지만
라벨(Label)을 이용해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다른 항목들 소개후 라벨과 장치명 모두 사용하는 예를 들어보도록 할께요.
2.Mount Point(마운트포인트)
등록할 파티션을 어디에 위치한 디렉토리에 연결할것인지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마운트 시켜줄 디렉토리 경로를 써주시면되요.
3.FileSystem Type(파일시스템 종류)
파티션 생성시 정해줬떤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써주는 필드입니다. 저희는 ext3으로 파일시스템을 설정하였기때문에 ext3을써줘야 합니다. 일단 파일시스템은 무슨 종류들이 있는지 소개해드리도록 할께요.
ext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하였던 종류, 현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ext2 -현재도 사용하며, 긴~파일시스템이름을 지원하는것이 특징입니다.
ext3 -저널링 파일시스템, ext2보다 파일시스템의 복수/보안기능을 크게향상되었고
현재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ext4 -16TB까지만 지원하던 ext3과 달리 더큰 용량을 지원하며, 삭제된 파일 복구,
파일 시스템 점검속도가 훨~씬 빨라진 파일시스템입니다.
iso9660 -DVD/CD-ROM을 위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읽기만 가능합니다.
nfs -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 마운트할때 사용하는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swap -스왑파일시스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ufs -Unix system에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Unix File System)
vfat -윈도우95/98등등 nt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msdos -MS-DOS파티션을 사용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ntfs -윈도우NT/2000의 nft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hfs -MAC컴퓨터의 h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hpfs -hp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sysv -Unix system v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ramdisk -RAM을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
4.Mount Option(마운트옵션)
파일시스템에 맞게 사용되는 옵션들을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옵션들의 종류들부터 소개해드리도록 할께요.
default - rw, nouser, auto, exec, suid속성을 모두 설정
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
no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를 하지않음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허용
no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불허용
suid - SetUID, SetGID 사용을 허용
nosuid - SetUID, SetGID 사용을 불허용
ro - 읽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
rw - 읽시/쓰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
user - 일반사용자 마운트 가능
nouser - 일반사용자 마운트불가능, root만 가능
quota - Quota설정이 가능
noquota - Quota설정이 불가능
5.Dump
덤프(백업)가 되어야 하는지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덤프 옵션은 0과 1만 존재합니다.
0 - 덤프가 불가능하게 설정
1 - 덤프가 가능하게 설정
6.File Sequence Check Option
fsck에 의한 무결성 검사 우선순위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0,1,2 총 3가지 옵션이 존재합니다.
0 - 무결성 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1 - 우선순위 1위를 뜻하며, 대부분 루트부분에 설정을 해놓습니다.
2 - 우선순위 2위를 뜻하며, 1위를 검사한후 2위를 검사합니다.
대부북 루트부분이 1이기때문에 루트부분 검사후 검사합니다
출처: https://movenpick.tistory.com/34 [MoVenPick]
'2022이전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DAP (0) | 2021.06.19 |
---|---|
리눅스 성능 측정 도구 패키지 sysstat (0) | 2020.08.16 |
트래픽 확인하기_vnstat (0) | 2020.06.29 |
리눅스 Dialog 사용법 (0) | 2020.06.26 |
리눅스 기본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