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aaS
- docker
- 실습
- MongoDB
- git
- OpenStack
- Docker-compose
- nodejs
- Javascript
- IaaS
- mysql
- network
- worker
- RAID
- node.js
- 도커
- dockerfile
- 명령어
- PAT
- Docker Swarm
- 클라우드
- 이론
- RAPA
- 쿠버네티스
- 용어정리
- express
- 개념
- kubernetes
- 네트워크
- gns3
Archives
- Today
- Total
융융이'Blog
Spanning Tree 본문
Spanning Tree란?
그래프 내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느 트리
- Spanning Tree = 신장 트리 = 스패닝 트리
- Spanning Tree는 그래프의 최소 연결 부분 그래프이다.
- 최소연결 : 간선의 수가 적다.
- n의 정점을 가지는 그래프의 최소 간선의 수는 (n-1)개이고, (n-1)개의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필연적으로 트리 형태가 되고 이것이 바로 Spanning Tree가 된다.
Spanning Tree의 특징
- DFS, BFS을 이용하여 그래프에서 신장 트리를 찾을 수 있다.
- 하나의 그래프에는 하나 이상의 신장 트리가 존재 할 수 있다.
- Spanning Tree는 트리의 특수한 형태이므로 모든 정점들이 연결 되어 있어야 하고 사이클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 즉 Spanning Tree는 그래프에 있는 n개의 정점을 정확히 (n-1)개의 간선으로 연결 한다.
MST란?
Spanning Tree 중에서 사용된 간선들의 가중치 합이 최소인 트리
- MST = Minimum Spanning Tree = 최소 신장 트리
- MST는 간선에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소 비용의 Spanning Tree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정점들을 가장 적은 수의 간선과 비용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MST의 특징
- 간선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여야 한다.
- Spanning 특징을 모두 성립해야 한다.(간선의 갯수: n-1, 사이클x)
MST의 구현 방법
1. Kruskal MST 알고리즘
탐욕적인 방법(Greedy Algorithm)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정점을 최비용으로 연결하는 최적 해답을 구하는 것
[과정]
- 그래프의 간선들을 가중치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정렬된 간선 리스트에서 순서대로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간선을 선택한다.(가장 낮은 가중치 먼저 선택, 사이클형성 간선 제외)
- 해당 간선을 현재의 MST(최소 비용 신장 트리)의 집합에 추가한다.
2. Prim MST 알고리즘
시작 정점에서부터 출발하여 신장트리 집합을 단계적으로 확장 해나가는 방법
- 정점 선택을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이다.
-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신장 트리를 확장하는 방법이다.
[과정]
- 시작 단계에서는 시작 정점만이 MST(최소 비용 신장 트리) 집합에 포함된다.
- 앞 단계에서 만들어진 MST 집합에 인접한 정점들 중에서 최소 간선으로 연결된 정점을 선택하여 트리를 확장한다.
- 위의 과정을 트리가 (N-1)개의 간선을 가질 때까지 반복한다.
'2022이전 > 알고리즘(하루에하나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우유와 요거트가 담긴 장바구니(Self Join) (0) | 2020.06.09 |
---|---|
[SQL]보호소에서 중성화한 동물(JOIN) (0) | 2020.06.09 |
타겟 넘버(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2) | 2020.03.18 |
프린터(List vs ArrayList 개념) (0) | 2020.02.29 |
기능개발(ArrayList 개념) (0) | 2020.02.29 |